728x90
반응형
자본금 조건:
기업의 자본금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자본금 기준은 정기 검토를 통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영업실적 및 안정성 조건:
코스닥에 상장하려면 최근 몇 년간의 영업실적이 있어야 하며, 일정한 수준의 안정성을 보여야 합니다. 이는 매출액, 영업이익, 자산규모 등을 포함합니다.
지배구조 및 주주구조:
지배구조 및 주주구조에 대한 일정 기준이 있으며, 일부 제한된 주주와의 관계, 대주주의 지분 소유 비율 등이 검토됩니다.
회계 기준 및 회계 감사:
기업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준수하고, 외부 감사인에 의한 감사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상장 심사:
한국거래소는 코스닥 상장을 원하는 기업에 대한 상장 심사를 진행합니다. 상장 심사에서는 기업의 금융건전성, 경영능력, 정보공시 수준 등이 평가됩니다.
IPO (Initial Public Offering) 준비:
기업은 상장 전에 초기 공개(IPO) 준비를 해야 합니다. IPO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을 공개하고,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판매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증권계좌 개설:
상장 후에는 투자자들이 주식을 거래할 수 있도록 증권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반응형
'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주식을 찾는 방법은 뭘까? (주린이의 고민) (1) | 2023.12.03 |
---|---|
주식을 사고 팔기 위해선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0) | 2023.12.03 |
코스닥과 유가증권시장(KOSPI)의 차이는 뭘까? (1) | 2023.12.03 |
코스닥 시장의 특징은 뭘까? (1) | 2023.12.03 |
연금액은 어떻게 계산이 될까? (0) |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