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질산구리를 불순물로 포함한 알코올 증류 실험을 할 때 증류 후 얻은 알코올이 약간 푸르스름한 색을 띠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증류 후 얻은 알코올은 원료 중의 구리가 포함되면 안 됩니다.
따라서 푸른빛이 도는 경우에는 구리 성분이 포함된 것이므로
무색이 될 때까지 다시 증류해서 순도가 높게 깨끗이 증류시켜야
합니다. 증류는 너무 빨리 할 때 물방울이 수증기에 따라 올라가서
넘어가면 원료 중 구리가 증류 제품에 섞이게 됩니다. 그래서
원래 증류할 때 분별증류라고 해서 증류 플라스크 위에
증류관을 넣고 증류 관속에 유리관 토막을 넣고 그위에 온도계를
꽂고 증류하면 액이 증류하면서 유리관에 붙어서 응추되었다가
밑에서 강하게 올라오는 알코올 증기에 밀려 다시 위로
올라가고 그렇게 여러 번 되풀이하는 동안 순도 높은 알코올만
증류되게 됩니다. 바로 증류하면 두 번 세 번 해야 겨우
순도가 높아지며 보통 2% 정도의 불순물이 넘어가고 심하면
3% 양호해도 0.2 내지 0.3%는 딸아 넘어가는 것이 통례입니다.
반응형
'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상상태 연속공정에서의 반응 C6H12 (0) | 2020.05.28 |
---|---|
2℃ 높이는데 10 cal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이 물체의 온도를 5℉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얼마의 에너지[cal]는? (0) | 2020.05.28 |
킬레이트 적정실험 (0) | 2020.05.26 |
물질수지 5mol % (0) | 2020.05.26 |
연소반응식,명명법 (0) | 2020.05.26 |